2024 라방콘 현장 스케치 <데이터 기반으로 성장하는 쇼퍼블 비디오와 소스애널리틱스 기능 및 사례>
지난 1월 31일, 라방바 데이터랩이 개최하는 ‘2024 라이브커머스 콘퍼런스(라방콘)’에 모비두 Sauce가 ‘데이터 기반으로 성장하는 쇼퍼블 비디오와 소스애널리틱스 기능 및 사례’라는 주제로 발표를 했습니다.
약 200명이 넘는 라이브커머스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을 정도로 라이브커머스 업계 트렌드와 2024년 라이브커머스 전망에 대한 관심이 무척 뜨거웠는데요. 이날 현장에 참석하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Sauce가 대신 핵심 포인트를 요약해드립니다.
<2024 라방콘 - 모비두 세션 현장 모습>
2024 라이브커머스 시장 전망은 어떨까?
라방바 데이터랩에 따르면, 2023년 시장 규모는 3조원으로 1년새 45% 성장했습니다.
<출처 : 라방바 데이터랩 - 2024 라방콘 발표자료>
카테고리별 매출 성장을 보면, 특히 고관여 제품이 라이브커머스와 마켓핏(Market-Fit)이 잘 맞기 때문에 디지털/가전 카테고리 성장률이 83%로 가장 높고, 디지털/가전 카테고리의 성장률은 계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식품 카테고리 또한 53%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마트나 주변에서 쉽게 찾기 어려운 제품을 라이브커머스로 판매하는 경우가 많아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건강기능식품 판매 성장률에 있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방송 조회수는 어땠을까요? 2023년 라이브 방송 중 조회수 10만~30만 구간의 방송수는 230%, 조회수 30만 이상의 라이브 방송수는 125% 증가하였습니다.
그렇다면, 2024년 라이브커머스 시장 전망은 어떨까요? 2023년 이커머스 시장은 10% 성장하였고, 물가 상승을 감안하더라도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라방바 데이터랩은 올해(2024년) 라이브커머스 시장 규모를 4조 ~ 4.5조일 것으로 전망하며, 밴드웨건 마케팅 효과(많은 사람들이 구매하는 것을 보고 따라 구매하는 심리)가 정착되면서 라이브커머스 시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성장하는 쇼퍼블 비디오와 소스애널리틱스 기능 및 사례
<2024 라방콘에서 발표를 하고 있는 모비두 이원준 본부장>
3부 모비두 소스 세션에서는, 이원준 본부장의 ‘데이터 기반으로 성장하는 쇼퍼블 비디오와 소스애널리틱스 기능 및 사례’를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이날 발표에서는 라이브커머스부터 숏폼 커머스 등 쇼퍼블비디오 시대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절대 변하지 않는’ 본질적인 가치인 구매전환과 매출 관점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을지 노하우를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분간의 짧은 발표였지만 참석자 분들의 집중도가 가장 높았던 시간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모비두 소스 발표자료 중 일부>
전통적인 이커머스 시장에서는 생필품처럼 필요에 의해 최저가를 비교·검색해 구매하는 ‘목적형 쇼핑’이 대세였다면, 현재 쇼퍼블 비디오의 시대로 넘어오면서 소비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하다가 상품을 발견해 구매하는 ‘발견형 쇼핑’이 대세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더해,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라이브커머스는 이커머스 시장과 함께 급속도로 성장하였고, 특히 시공간의 제약없이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실시간 경험을 제공하여 급부상하게 되었죠.
<2024 라방콘에서 발표를 하고 있는 모비두 이원준 본부장>
Sauce는 자사몰 라이브·숏폼 솔루션부터 방송 제작·실시간 타깃 마케팅까지 성공적인 라이브커머스에 필요한 Shoppable 360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고객사 담당자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라이브커머스 캠페인 성과 분석’에 대한 고민을 갖고 계신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라이브커머스 고객들이 방송 유입 이후 자사몰에서 어떤 구매여정을 거치는지, 유입 매체별 고객들의 재방문 여부, 광고를 통해 유입된 고객들의 구매 여부 등 라이브커머스 캠페인 성과에 대한 정량화를 위해 Sauce의 풀 퍼널 데이터 분석 서비스, 소스애널리틱스가 라이브커머스 풀 퍼널 데이터 연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소스애널리틱스를 통해 어떤 인사이트를 얻고, 어떤 마케팅 액션을 할 수 있을까요? 이원준 본부장은 우선 페이드/온드 채널별 시청유입부터 기획전 페이지, 상품 상세페이지, 카트담기, 결제완료까지 언제 어디에서 고객 이탈이 발생하는지 각 퍼널별 전환율 분석을 통해 구매경로 개선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라이브커머스와 숏폼 광고의 이벤트도 연동하여 매체별 시청 기여부터 전환 성과까지 에어브릿지에서 확인이 가능하죠.
최근 크리에이터와의 협업도 많이 진행하실 텐데요. 콘텐츠 및 크리에이터 개별 트래킹 링크를 통해 어떤 인플루언서의 콘텐츠가 구매 전환에 기여했는지 분석하여 콘텐츠와 인플루언서를 ROAS 기준으로 Pool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라이브 방송을 통해 유입된 유저 코호트를 모수로 활용해 리타게팅 캠페인을 집행하여 유입된 유저들을 구매까지 유도해 라이브 방송의 성과를 견인할 수 있다는 내용도 전했습니다.
2024 라방콘에 참여해주신 분들, 그리고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소스애널리틱스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이용문의를 통해 문의해 주시면 상세한 안내 도와드리겠습니다.